마랭 메르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랭 메르센은 17세기 프랑스의 철학자, 수학자, 신학자, 과학자로, 학자들 간의 지적 교류를 촉진하고 과학 발전에 기여했다. 그는 미니모 수도회에 입회하여 신학을 공부했으며, 파리 라농시아드 수도원에서 활동하며 데카르트, 갈릴레오 등 당대 저명한 학자들과 교류했다. 메르센은 메르센 소수와 메르센의 법칙으로 알려진 음향학 연구, 망원경 설계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업적을 남겼으며, 장미십자회와 같은 비밀 결사에 반대하며 기계론을 옹호했다. 그는 파리 과학 아카데미의 전신인 메르센 아카데미를 통해 학문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르트주 출신 - 클로드 샤프
클로드 샤프는 움직이는 팔을 이용한 광학 전신 시스템인 샤프 전신을 개발하여 프랑스 혁명 이후 정국 안정과 나폴레옹 전쟁에서의 프랑스 우위에 기여한 프랑스 발명가이다. - 사르트주 출신 - 에마 매키
프랑스 태생의 영국 배우 에마 매키는 넷플릭스 드라마 《오티스의 비밀 상담소》의 메이브 와일리 역으로 유명하며, 영화 《나일 강의 죽음》, 《바비》, 《에밀리》 등에 출연했고, 2023년 BAFTA 라이징 스타상을 수상했다. - 프랑스의 음악 이론가 - 르네 데카르트
르네 데카르트는 "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라는 명제로 유명한 프랑스의 철학자이자 수학자로, 근대 철학의 아버지로 불리며 해석기하학 창시 등 수학과 과학에도 기여했고, 방법적 회의와 이원론 철학으로 서구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프랑스의 음악 이론가 - 장 르 롱 달랑베르
장 르 롱 달랑베르는 프랑스의 수학자, 물리학자, 철학자이자 음악 이론가로서, 달랑베르의 원리를 제시하여 역학 발전에 기여하고 드니 디드로와 함께 《백과전서》를 편찬하며 계몽주의 사상을 전파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 1588년 출생 - 로버트 필머
로버트 필머는 17세기 영국의 정치철학자로, 아담으로부터 시작된 가부장적 권위의 계승으로 왕권을 옹호하는 왕권신수설을 주장하여 당대 정치 논쟁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588년 출생 - 레 경종
레 경종은 1599년부터 1619년까지 베트남 후 레 왕조의 황제였으며, 권신 찐뚱에 의해 허수아비 황제 역할을 하다가 찐뚱 암살 시도 실패 후 협박으로 자결했으며, 사후 묘호를 받지 못했으나 아들 대에 묘호가 추존되었다.
마랭 메르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다른 이름 | 마리누스 메르센누스 |
출생일 | 1588년 9월 8일 |
출생지 | 프랑스 왕국 우아제 |
사망일 | 1648년 9월 1일 |
사망지 | 프랑스 왕국 파리 |
분야 | 수학 물리학 |
알려진 업적 | 메르센 소수 메르센의 추측 메르센의 법칙 음향학 |
종교 | OM |
2. 생애
마랭 메르센은 오아제 근처 농부 줄리앙 메르센의 아들로 태어났다. 온화하고 친절한 성품으로 당대 연구자들과 교류 네트워크를 만들었으며, 갈릴레오의 연구를 지원하고 번역하기도 했다. 메르센과 학자들의 방대한 서신 왕래는 당시 위인들의 업적과 생활상을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이다. 특히 데카르트와는 절친한 사이였으며, 데카르트가 네덜란드로 이사했을 때도 메르센에게만 거처를 알리고 교신했다. 데카르트는 메르센이 매우 호기심이 왕성하여 구약성서 창세기 28장 12절의 야곱의 사다리 길이를 계산하는 등 "다양한 것을 너무 알고 싶어한다"고 말했다.
메르센은 자신의 공식으로 2257 - 1 이하의 정수 중 소수라고 예상한 10개의 숫자를 검증 없이 제시했는데, 절반만 맞았지만 직관적 통찰력이 뛰어났음을 보여준다.
가톨릭 신자인 메르센은 르네상스의 자연 마술, 헤르메스 철학, 카발라를 혐오했고, 프로테스탄트 사상의 장미십자회를 흑마술사나 사상 테러리스트의 음모 결사로 간주했다. 평소 온화한 메르센도 펜을 들면 피치노, 피코 델라 미란돌라, 아그리파를 가혹하게 비판했다. 그의 공격은 로버트 플러드에게도 향해져 메르센-플러드 논쟁으로 이어졌다.
메르센은 수학뿐 아니라 종교와 음악에도 신의 질서 있는 법칙성을 적용하여 과학과 종교를 통합하려 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오아제 근처 농부 가정에서 태어난 메르센은 르망과 라 플레쉬 예수회 대학에서 교육받았다.[5] 1611년 미니모 수도회에 입회하여 파리에서 신학과 히브리어를 공부하고 1613년 사제 서품을 받았다. 1614년부터 1618년까지 네베르에서 신학과 철학을 가르친 후, 1620년 라농시아드 수도원에 정착했다.어린 시절부터 학문에 재능을 보였던 메르센은 부모님의 재정적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교육을 받았다. 르망 학교에서 문법을 공부하고, 16세에 라 플레슈에 있는 왕립 학원에 들어갔다. 이곳은 재능 있는 젊은이들을 육성하기 위해 신설된 예수회 교육 기관이었다. 데카르트도 이곳에서 메르센보다 2년 늦게 입학하여 평생의 우정을 맺게 되었다. 이후 메르센은 파리 대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하고, 1614년부터 1618년까지 네베르에서 철학과 신학을 가르쳤다. 1620년 파리로 돌아온 후, 이탈리아나 네덜란드 여행을 제외하고는 평생 파리의 수도원에 머물며 신학과 철학을 가르치고 학문 연구를 계속했다. 메르센은 수도사로 오해받기도 하지만, 실제로는 수도사 교육 기관에서 교육받고 지도자가 되었을 뿐, 예수회 회원이 된 적은 없다.
2. 2. 학문 활동과 교류
오아제 근처에 살았던 농부 줄리앙 메르센의 아들로 태어난 메르센은 르 망과 라 플레쉬 예수회 대학에서 교육받았다. 1611년 7월 17일, 미니모 수도회에 입회하여 파리에서 신학과 히브리어를 공부한 후 1613년에 사제 서품을 받았다.[5]1614년부터 1618년까지 네베르에서 신학과 철학을 가르쳤지만, 1620년 파리로 돌아와 라농시아드 수도원에 정착했다. 그곳에서 수학과 음악을 공부했고, 르네 데카르트, 에티엔 파스칼, 피에르 프티, 질 드 로베르발, 토마스 홉스 등과 교류했다. 또한 조반니 도니, 자크 알렉상드르 르 테네르, 콘스탄틴 호이겐스, 갈릴레오 갈릴레이 등 이탈리아, 영국, 네덜란드 공화국의 다른 학자들과도 서신을 주고받았다. 특히 갈릴레오의 열렬한 지지자였으며, 그의 기계적 작품 번역을 돕기도 했다.[6]
메르센은 4년 동안 철학 및 신학 저술에 전념하여 ''Quaestiones celeberrimae in Genesim'' (''창세기에 관한 유명한 질문'') (1623년), ''L'Impieté des déistes'' (''이신론자들의 불경'') (1624년), ''La Vérité des sciences'' (''회의론자에 대한 과학의 진실'', 1624년)을 출판했다. 그는 예수회에서 교육받았지만, 예수회에 가입한 적은 없다.
1635년에는 비공식 학술 모임인 ''아카데미 파리지엔느''(Academia Parisiensis)을 설립했는데, 여기에는 천문학자, 철학자, 수학자 등 약 140명의 통신원이 있었다. 이는 1666년 장-밥티스트 콜베르에 의해 설립된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의 전신이 되었다. 메르센은 학자들 간의 논쟁을 통해 자신의 견해를 비교하고 발전시키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했으며, 피에르 드 페르마, 장 드 보그랑 등과의 논쟁이 대표적이다.[6]
메르센은 토마소 캄파넬라를 만나기도 했지만, 그가 과학에 대해 가르칠 것이 없다고 결론내리기도 했다. 르네 데카르트에게 캄파넬라와의 만남을 주선하려 했으나 데카르트는 거절했다. 1640년, 1641년, 1645년에는 이탈리아를 방문했으며, 1643-1644년에는 독일 소치니안인 마친 루아르와 코페르니쿠스 사상에 대해 서신을 주고받았다. 루아르는 이미 피에르 가상디의 입장을 지지하고 있었다.[7] 메르센은 블레즈 파스칼, 아이작 베크만 등과도 서신을 교환하며 학문적 교류를 이어갔다.
메르센의 시대는 통신 수단이 발달하지 않아 연구자 간의 교류가 어려웠지만, 블레즈 파스칼 부자, 지라르 데자르그, 질 드 로베르발 등 당대 최고의 연구자들을 수도원으로 초청하여 학술 모임(메르센 아카데미)을 열었다. 이는 파리 과학 아카데미로 발전했으며, 피에르 드 페르마, 갈릴레오 갈릴레이, 크리스티안 호이겐스 등과도 교류하며 유럽 학자들의 학문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2. 3. 말년과 죽음
1648년 9월 1일 폐 농양으로 인한 합병증으로 사망했다.[7]3. 사상과 업적
메르센은 수학, 물리학, 음악 이론, 철학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업적을 남겼다. 특히 데카르트의 옹호자였으며, 당시 학계에 만연했던 마법적, 점성술적 사상에 맞서 과학적 방법론을 주장했다.
메르센은 여러 나라 학자들과 교류하며, 과학 저널이 없던 시절에 정보 교환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 그는 유클리드, 아폴로니우스, 아르키메데스 등 그리스 수학자들의 저작을 편집, 출판하여 고대 지식을 보존하고 전파하는 데 힘썼다.
메르센 소수 연구로도 유명한데, 저서 ''물리-수학적 고찰(Cogitata Physico-Mathematica)''에서 특정한 형태의 소수를 제시, 이는 오늘날 "메르센 소수"로 불린다. 이 소수는 메르센 트위스터 같은 의사 난수 생성 알고리즘에 활용되어 컴퓨터 공학 및 암호학 분야에 기여한다.[1]
''보편적 조화''(Harmonie universelle)를 통해 음악 이론에도 공헌했다. 이 책에서 메르센의 법칙을 제시, 현의 진동수를 결정하는 요인들을 수학적으로 설명했다. 또한, 현대 반사 망원경의 기초가 되는 아이디어도 제시했다.[12][13]
3. 1. 과학과 종교의 통합 시도
메르센은 일부 이탈리아 자연철학자들의 가르침, 특히 모든 일이 자연적으로 일어나고 점성술적으로 결정된다는 주장에 우려했다. 그는 루실리오 바니니의 규범적 결정론과 제롤라모 카르다노의 순교자와 이단자들이 별에 의해 스스로 해를 입도록 강요받았다는 생각을 비판했다.[9] 윌리엄 애시워스는 기적이 자연철학자들에 의해 위험에 처해졌다고 설명한다. 왜냐하면 공감과 신비한 힘으로 가득 찬 세상에서는 모든 것이 자연적으로 일어날 수 있었기 때문이다.[10][11]메르센은 마르탱 델 리오의 ''마법에 대한 연구''를 언급하고, 마르실리오 피치노가 이미지와 문자에 힘을 부여했다고 비판했다. 그는 별의 마법과 점성술, 그리고 르네상스 신플라톤주의자들 사이에서 인기 있는 개념인 ''세계 영혼''을 비난했다. 그는 카발라의 신비주의적 해석을 허용하면서도 특히 천사학과 같은 마법적 적용을 전적으로 비난했다. 또한 피코 델라 미란돌라, 코르넬리우스 아그리파, 프란체스코 조르지 및 로버트 플러드를 비판했다.[8]
1630년대 중반, 메르센은 자연철학적 의미에서 물리적 원인에 대한 탐구를 포기하고, 진정한 물리학은 움직임에 대한 묘사적 과학('메커니즘')일 수 있다고 가르쳤다. 이는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제시한 방향이었다. 메르센은 갈릴레오와 정기적으로 서신을 교환했으며, 그의 아버지인 빈첸초 갈릴레이가 처음 개발한 진동하는 현에 대한 연구를 확장했다.[17]
3. 2. 수학 연구: 메르센 소수
마랭 메르센은 ''"Cogitata Physico-Mathematica"''(1644년)에서 2*n* - 1이 소수가 되는 것은 *n* ≤ 257에서는 *n* = 2, 3, 5, 7, 13, 17, 19, 31, 67, 127, 257뿐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실제로는 목록 이외의 *n* = 61, 89, 107도 소수이며, 목록 내의 *n* = 67, 257의 경우에는 소수가 아닌 합성수임이, 후에 오일러, 루카스, 파브신 등에 의해 증명되었다. 오늘날에는 세계 각지에서 컴퓨터를 사용하여 *n*에 모든 값을 대입하여 소수를 검증·발견하고 있다. 2*n* - 1의 형태로 표기할 수 있는 자연수를 메르센 수, 또 소수인 경우에는 특히 메르센 소수라고 부른다. 2018년 12월 현재, 51개의 메르센 소수가 발견되었다.메르센 소수를 사용한 의사 난수 발생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개발된 의사 난수 생성기로 메르센 트위스터가 있다.[1] 의사 난수는 컴퓨터의 속도 경쟁이나 알고리즘의 우열 판정, 공개 암호 키 등에 사용된다.[1]
3. 3. 음악 이론: 음향학과 평균율
메르센은 음악 이론과 다른 주제에 대해 글을 썼으며, 음악 이론에 관한 저서인 ''보편적 조화''(Harmonie universelle)를 저술했다. 이 책은 음악과 관련된 수학적 관계를 다루는 등 음악 이론에 대한 포괄적인 연구를 담고 있으며, 메르센의 법칙으로 알려진, 팽팽한 현의 진동수를 설명하는 공식을 포함하고 있다.[14]메르센의 법칙에 따르면, 현의 진동수는 현의 길이에 반비례하고, 장력의 제곱근에 비례하며, 단위 길이당 질량의 제곱근에 반비례한다. 최저 주파수는 다음 공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
여기서 ''f''는 주파수 [Hz], ''L''은 길이 [m], ''F''는 힘 [N], μ는 단위 길이당 질량 [kg/m]이다.
메르센은 "음향학의 아버지"로 불리기도 하는데,[15] 1636년 ''보편적 조화''에서 옥타브를 20000000:10000000으로 하여 거의 완벽하게 12 평균율을 기술했다. 이는 2의 12제곱근 계산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그의 수학적 지식이 음률에도 활용되었음을 보여준다. 또한, 현악기의 음높이가 현의 길이, 밀도, 장력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을 밝혀내고, 이를 메르센의 법칙으로 정식화했다. Tromba marina영어라는 현악기 도판을 남기기도 했다.
3. 4. 기계론 철학 옹호
메르센은 데카르트의 기계론을 지지하며, 세계는 영혼이 없는 수동적인 기계로 파악하고, 물체는 엄격한 수학적 자연 법칙에 의해 결정된다고 보았다. 그는 신의 전능성을 강조하기 위해 이러한 관점을 취했다.[19] 한편, 모든 물체에 영혼이 깃들어 있다고 주장하는 마술 사상적인 르네상스 철학을 부정하면서, "마술에서 기계론으로의 이행"을 이끈 철학자로 평가받는다. 이러한 이유로 르네상스 마술의 후계자 격인 장미십자 운동을 인정하지 않고, 그 지지자들을 강하게 비판했다.3. 5. 장미십자회 비판
메르센은 장미십자회 사상, 특히 로버트 플러드의 사상에 반대하는 투쟁을 주도했다. 플러드는 『소피아 쿰 모리아 체르타멘』(Sophia cum moria certamen, 1626)에서 자신의 견해를 옹호했고, 익명의 『숨뭄 보눔』(Summum bonum, 1629)은 메르센에 대한 또 다른 비판을 담고 있었다. 자크 가파렐은 플러드 편에 섰고, 피에르 가상디는 메르센을 옹호했다.[16]당시 유럽에서는 『파마 프라테르니타티스(Fama fraternitatis)』와 『콘페시오 프라테르니타티스(Confessio Fraternitatis)』라는 두 개의 독일 팸플릿이 유포되었는데, 이들은 장미십자회 형제단의 선언문이라고 주장했다. 이 책들은 교육 개혁을 장려하고 과학에 대한 비공개적인 관점을 홍보했다. 그러나 현재 역사학자들은 장미십자회라는 단체가 실제로 존재했다는 증거가 없다는 데 동의한다.[16]
4. 영향과 유산
마랭 메르센은 당대 유럽 학자들과 서신을 주고받으며 학문 교류의 중심 역할을 수행하여 학문 발달에 크게 기여했다. 그의 이러한 노력은 17세기 과학 혁명 시기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메르센은 2n − 1 형태의 수에 대한 연구로도 유명하다. 특히, 이 형태의 수가 소수인 경우를 메르센 소수라고 부르는데, 그는 1644년에 n ≤ 257 범위에서 메르센 소수가 되는 n의 값을 제시했다. 비록 그의 주장에 일부 오류가 있었지만, 메르센 소수 연구는 현대 수학과 암호학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4. 1. 메르센 아카데미와 과학 아카데미
메르센 시대에는 현대만큼 통신 수단이 발달하지 않아 연구자 간의 서신 왕래나 논의가 어려웠다. 하지만 메르센은 에티엔, 블레즈 파스칼 부자, 지라르 데자르그, 질 드 로베르발 등 당대의 일류 연구자와 사상가들을 초대하여 수도원 객실에서 학문을 논하는 모임을 유지했는데, 이를 메르센 아카데미라고 불렀다. 이 활동은 1666년에 창립되는 파리 과학 아카데미로 발전해 나갔다.[1] 그 외에도 페르마, 르네 데카르트, 갈릴레오 갈릴레이, 호이겐스, 토리첼리 등과도 교류가 있었다. 과학 잡지가 없던 당시, 메르센은 유럽 전역의 학자들과 서신을 주고받으며 교류의 중심이 되어 학문 발달에 크게 공헌했다.[1]4. 2. 메르센 소수와 현대 암호학
메르센은 ''"Cogitata Physico-Mathematica"''(1644년)에서 2n − 1이 소수가 되는 것은 n ≤ 257에서는 n = 2, 3, 5, 7, 13, 17, 19, 31, 67, 127, 257 뿐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실제로는 목록 이외의 n = 61, 89, 107도 소수이며, 목록 내의 n = 67, 257의 경우에는 소수가 아닌 합성수임이, 후에 오일러, 루카스, 파브신 등에 의해 증명되었다. 오늘날에는 세계 각지에서 컴퓨터를 사용하여 n에 모든 값을 대입하여 소수를 검증·발견하고 있다. 2n − 1의 형태로 표기할 수 있는 자연수를 메르센 수, 소수인 경우에는 특히 메르센 소수라고 부른다. 2018년 12월 현재, 51개의 메르센 소수가 발견되었다.메르센 소수를 사용한 의사 난수 발생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개발된 의사 난수 생성기로, 메르센 트위스터가 있다.[1] 의사 난수는 컴퓨터의 속도 경쟁이나 알고리즘의 우열 판정, 공개 암호 키 등에 사용된다.[1]
5. 저작 목록
- ''Euclidis elementorum libri'', 등 (파리, 1626)
- ''갈릴레오의 기계학'' (파리, 1634)
- ''Inouies 질문 또는 학자들의 오락'' (1634)
- ''신학, 물리적 질문'', 등 (1634)
- ''우주 조화'' 갈리카 (파리, 1636). 로저 E. 채프먼의 영어 번역 (헤이그, 1957)
- ''갈릴레오의 새로운 발견'' (1639)
- ''물리-수학적 고찰'' (1644)
- ''전체 기하학 개요'' (1644)
- Tractatus mechanicus theoricus et practicus|트락타투스 메카니쿠스 테오리쿠스 에트 프락티쿠스la (1644)

참조
[1]
학술지
Environmental Effects on the Speed of Sound
http://ise.iqcatalog[...]
2014-06-23
[2]
서적
Calculus Gems: Brief Lives and Memorable Mathematics
Mathematical Association of America|MAA
[3]
서적
Against the Gods: The Remarkable Story of Risk
https://archive.org/[...]
John Wiley & Sons
[4]
서적
The Vitality Imperative: How Connected Leaders and Their Teams Achieve More with Less Time, Money, and Stress
https://books.google[...]
RDA Press
2016-10-25
[5]
서적
Histoire littéraire du Maine
https://books.google[...]
[6]
학술지
Mersenne l'Animateur
http://www.persee.fr[...]
[7]
서적
Gassendi et l'Europe
Vrin
[8]
서적
Mersenne ou la naissance du mécanisme
Vrin
1943
[9]
학술지
Reading Cardano with the Roman Inquisition: Astrology, Celestial Physics, and the Force of Heresy
https://biblio.ugent[...]
2019
[10]
웹사이트
William B Ashworth Jr
https://scholar.goog[...]
[11]
학술지
5. Catholicism and Early Modern Science
1986-12-31
[12]
서적
Reflecting Telescope Optics I: Basic Design Theory and its Historical Development
https://books.google[...]
Springer
[13]
서적
Mirror Mirror: A History of the Human Love Affair with Reflection
https://books.google[...]
Basic Books
[14]
학술지
Small Skills, Big Networks: Marin Mersenne as Mathematical Intelligencer
[15]
서적
Metaphysics and Measurement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6]
서적
The Chemical Philosophy
https://books.google[...]
Dover Publications
[17]
서적
Electricity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A Study of Early Modern Physic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9
[18]
논문
Environmental Effects on the Speed of Sound
[19]
문서
Church and Culture in Seventeenth Century Fran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